지구촌이슈
경제살피기
국민곁으로
언론보도
팩트 체크
이슈와 관점
칼럼
다시 생각나는 시간
추천기사
디지털 사료관 소개
제17대 대통령
제32대 서울특별시장
고난과 성취의 길
사진/영상
회고록 이야기
프로필
참여행사
MBtious
MB와의 인연
참여 게시판
후원 참여
이사장 인사말
설립 취지와 활동 방향
재단 소식
함께 만드는 이슈
팩트 체크
이슈와 관점
칼럼
다시 생각나는 시간
추천기사
다시 생각나는 시간
HOME > 함께 만드는 이슈 >
다시 생각나는 시간
중국영토에 착륙한 우리 군용기
관리자
2017.12.19
18일 중국 군용기가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을 무단 침범해 우리 공군 전투기들이 긴급 대응하는 일이 벌어졌다. 핵무기를 탑재할 수 있어 일명 ‘중국의 B-52 전략폭격기’로 불리는 H-6K 전략폭격기를 비롯해 중국의 최신예 전투기와 정찰기 5대가 KIDIZ를 동서로 횡단했다. KIDIZ는 국제법상 영공으로 인정되지는 않지만 상대측에 사전 통보하고 비행하는 것이 국제관례다. 또한 대통령 국빈방중 이틀 만에 통보 없이 중국 군용기가 우리 KIDIZ를 침범한 ..
북한의 연평도 포격과 단호한 응징
관리자
2017.11.23
▲ 2012년 10월 18일 이명박 대통령이 연평도를 방문하여 북한의 포격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북방한계선에서 불과 3.4km 떨어진 연평도에 우리 대통령이 방문한 것은 이 때가 처음이다.2010년 북한의 연평도 포격 직후 긴박한 상황에 대해 미국의 전(前) 국방장관 로버트 게이츠는 자신의 회고록 ‘임무’(Duty)를 통해 다음과 같이 증언했습니다.“한국에서 보복을 계획했는데 군용기와 포화가 동원되는 등 과도하게 공격적이었다. 한반도에서 걷잡을 수 없는 ..
가장 진전된 일본의 과거사 사과, 간 나오토 ...
관리자
2017.08.10
7년 전 오늘은 일본의 간 나오토 총리가 과거사에 대한 사과담화를 발표한 날이다. 그 이전까지 과거사에 대한 일본이 가장 전향적으로 사과한 것은 1995년 무라야마 도미이치 총리의 담화였다. 그러나 무라야마 담화는 식민지 지배를 당한 아시아 국가 전체에 대한 사과로 한국을 특정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실효적 조치가 없었다는 점에서도 한계가 있었다.반면 간 나오토 담화는 한국을 특정한 사과였고, 조선왕조실록과 함께 조선시대 기록 문화..
더반 대첩, 그리고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관리자
2017.07.06
6년 전 오늘은 강원도 평창이 세 번의 도전 끝에 동계올림픽 유치에 성공한 날입니다. 평창은 2003년 체코, 2007년 과테말라 IOC 총회에서 동계올림픽 유치에 두 차례 실패했습니다. 평창이 세 번째 도전을 한다고 나섰을 때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습니다. IOC 역사상 올림픽 유치에 세 번째 도전해서 성공한 나라가 없었기 때문입니다.당시 이명박 대통령도 망설였습니다. 그러나 이미 평창에는 전임 정부가 1조원에 달하는 시설을 투자해 놓은 상황이었습니다..
볼가강 만찬과 한-EU FTA
관리자
2017.07.01
▲2010년 9월, 야로슬라블 세계정책포럼에 참석한 이명박 대통령이 메드베데프 러시아대통령 주최 정상 만찬을 위해 베를루스코니 이탈리아 총리와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 이동하고 있다.6년 전 오늘은 한-EU FTA가 발효된 날입니다. EU가 거의 모든 분야를 망라하는 포괄적 협정을 맺은 것은 한-EU FTA가 처음이었습니다. 그래서 EU 측은 한-EU FTA를 ‘최초의 신개념 FTA'로 평가하기도 했죠.EU와의 FTA 협상이 어려운 것은 27개 EU국가와 일일이 개별협상을 해야 하..
이명박 시장의 서울숲 개장
관리자
2017.06.17
▲ 서울숲 개장이 12주년을 맞았다. 아직은 청계천 복원이나 대중교통 개혁만큼 널리 알려져 있지 않지만, 나무가 자라 장대한 숲을 이루게 되면 ‘서울의 센트럴파크’로서 서울숲은 청계천을 능가하는 명소가 될 것이다.12년 전 오늘은 서울시 성동구 뚝섬에 서울숲이 개원한 날입니다. 뚝섬은 한강 북쪽 기슭의 범람원 지역이었습니다. 조선시대 군대를 사열하거나 출병할 때 이 곳에서 둑기(纛旗: 軍神인 치우를 상징하는 깃발)를 세우고, 둑제(纛..
5·24조치와 원칙 있는 대북정책
관리자
2017.05.24
▲ 오열하는 천안함 장병의 유가족, 이명박 정부는 천안함 폭침이 북한의 소행으로 밝혀지자 강력한 대북 경제 제재 조치인 5·24 조치를 취했다.7년 전 오늘은 이명박 정부가 ‘5대 남북 교류 협력 중단 조치(5·24조치)’를 발표한 날입니다. 5·24조치는 우리 장병 46명의 목숨을 앗아간 천안함 폭침이 북한의 소행으로 밝혀지면서 2010년 5월 24일 이명박 정부가 취한 강력한 대북제재조치입니다.이 조치는 남북교역 중단, 우리 국민의 방북 불허, 북한에 대한..
북극해 진출의 교두보 마련, 그린란드에도 녹조...
관리자
2017.05.15
▲ 북극항로 개척 및 북극권 자원개발의 교두보 마련을 위해 이명박 대통령은 2012년 9월 경호상의 위험을 무릅쓰고 국가정상으로서는 처음으로 그린란드를 방문했다.4년 전 오늘(2013년 5월 15일)은 한국이 북극이사회 정식 옵저버(Observer) 자격을 획득해 북극해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한 날입니다. 북극이사회는 1996년 캐나다 오타와 선언을 계기로 만들어진 국제 거버넌스입니다. 북극이사회는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 아이슬란드, 캐나다, ..
이명박 서울시장, 서울광장을 시민의 품으로.....
관리자
2017.05.01
▲ 1919년 3.1운동 당시 경성일보(지금의 서울시청 자리) 앞 광장에서 벌어진 만세운동▲ 교통도 복잡하고 대기오염도 심했던 광장 조성 전 서울시청 앞 모습. 조순 서울시장 때도 광장조성의 계획이 있었지만 실행되지 못했다.▲ 2002년 월드컵 당시 시청 앞 도로를 가득 메운 시민들. 서울시민들은 광장을 원하고 있었지만 극심한 교통체증이 유발될 것이라는 이유로 광장조성이 어려웠다.▲ 서울광장 조성 후 시청 앞 모습. 우려하던 교통체증도 없었고 ..
이명박 정부의 교과서적 경제위기 극복
관리자
2017.04.28
▲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은 2008년 10월 뉴욕타임스에 기고한 칼럼에서 1997년 IMF 외환위기가 ‘해변에서의 한가로운 시간’에 불과하다고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의 심각성을 강조했습니다.7년 전 오늘(2010년 4월 28일), 영국의 파이낸셜 타임스(FT)는 렉스칼럼에서 “한국은 위기를 통제하는데 만점을 받았다(Korea gets full marks for crisis containment)”며 “교과서적인 회복(textbook recovery)을 이루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 당시 한국이 글로벌..
이명박 서울시장의 광화문 횡단보도 설치
관리자
2017.04.20
▲ 2005년 4월 20일 오전, 광화문 네거리 횡단보도 설치를 기념해 열린 보행환경 개선사업 준공식에 참여한 이명박 서울시장과 시청직원, 시민 600여명이 동아일보 앞에서 무교동길을 거쳐 서울광장까지 걷는 행사를 가졌다.12년 전 오늘은 광화문 네거리에 횡단보도가 설치된 날입니다. 당시 이명박 서울시장이 횡단보도 건립을 추진한지 2년, 그리고 1967년 지하보도가 만들어지면서 횡단보도가 사라진지 38년만의 일입니다. 그로인해 서울시민들은 광화문..
문화재 반환역사의 전기, 프랑스 외규장각 도서...
관리자
2017.04.14
▲ 2011년 6월 11일 오후, 서울 경복궁 근정전에서 열린 ‘외규장각 의궤 반환 환영대회’ 6년 전 오늘은 프랑스가 보관 중이던 외규장각 도서가 145년 만에 고국 땅을 밟은 날입니다. 외규장각 도서는 2011년 4월 14일부터 5월 27일까지 4차례에 거쳐 들어왔는데요. 2010년 11월 이명박 대통령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5년 단위로 자동 갱신되는 영구대여’ 형식의 반환에 합의한 결과입니다.정부 차원의 협상으로 다량의 문화재를 돌려받은 것은 1965년 한..
경제성장률 0.2%의 감격
관리자
2017.03.08
2010년 3월 8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전년도(2009년) 경제성장률이 발표되었습니다.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0.2%로 어찌 보면 무척 낮은 수치였는데요. 하지만 당시 국제사회는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주목하며 찬사를 보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2009년은 글로벌금융위기의 여파로 전 세계 경제가 극심한 침체에 빠졌던 해입니다. 주요 7개국(G7)도 모두 마이너스 성장을 했습니다. 미국은 -2.4퍼센트, 영국은 -5.0퍼센트, 프랑스는 -2.2퍼센트, 독..
한중 우호의 상징 따오기, 우리 들녘을 날다
관리자
2016.10.05
일제강점기의 애달픈 민족감정이 깃들어 있는 동요 속의 따오기가 멸종 37년 만에 일반에 공개되었습니다. 천연기념물 198호인 따오기는 1979년 비무장 지대에서 마지막으로 관찰된 후 우리나라에서 자취를 감췄는데요. 지난 2008년 8월 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이명박 대통령에게 따오기 한 쌍을 기증하면서 복원사업이 시작됐습니다. 당시 후 주석은 따오기가 한중 우호의 상징물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소회를 밝혔습니다.‘양..
과학강국을 위한 도전, 4세대 방사광가속기 준...
관리자
2016.09.30
△ 2006년 10월 26일, 스위스 제네바의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를 방문한 이명박 후보. 대선을 1년여 앞둔 상황에서 ‘선거를 앞두고 국내에서 할 일이 많다’는 주변의 만류를 뿌리치고 이명박 후보는 정책수립을 위해 유럽 탐방길에 나섰다.‘꿈의 빛’이라고 불리는 신형 방사성 가속기가 포항에 들어섰습니다. 29일 포항 가속기연구소에서는 4세대 방사광가속기 준공식이 열렸는데요. 이로서 우리나라는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 3번째로 4세대 방사성..
1
2
제목
내용
전체리스트보기